본문 바로가기
주식 일반

타산지석, 베어마켓 랠리와 다른 두 가지 특징

by 잠실돼지2 2009. 4. 20.
# 스톡오븐은 자료를 정리하거나 가공하지 않습니다. 그냥 날것의 상태로 모아 둘 뿐입니다 #
# 웹상에서의 수집으로 출처가 불명확한 것은 요청시에 삭제하거나 출처를 적어드립니다. #


# 주식의 경우에는 주가 3원리를 이해하면 끝! #
# 파생의 경우에는 기본 구조를 이해하면 끝! #
# 로직을 시스템화 시켰을 경우 살아남으면 진짜 #


-




타산지석, 베어마켓 랠리와 다른 두 가지 특징

유동성 장세 마감에 대한 신호 발생 중, 현재 KOSPI는 중요한 변곡점에 진입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던 KOSPI가 1,300p 중반에서 주춤한 모습이다. 조정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외국인을 제외할 경우, 투신과 연기금 등 국내 대표 투자자들이 주식비중을 줄이고 있어 수급이 꼬이고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4월 들어 투신과 연기금은 각각 2.4조원과 1.3조원대의 주식을 순매도하고 있어, 같은 기간 동안 2.7조원의 주식을 순매수한 외국인을 압도하고 있다. 상승 주도주였던 거래소 중,소형주와 코스닥 시장이 거래량 분출과 함께 하락하고 있다는 점도 유동성 랠리가 한계에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물론 아직까지 조정 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안심할 수 있지만, KOSPI가 변곡점에 진입하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하는 것은 유동성 랠리가 마감된 다음 급락세가 나타났던 지난해 3~5월의 장세패턴이다. 당시에도 글로벌 금융위기 안정에 대한 기대와 유동성 증가 등 개선된 투자심리를 발판으로 주가가 급등했지만, 이후 경기하강과 금융위기 부각으로 주가가 급락한 경험이 있다. 정황상 당시에도 유동성 랠리에 대한 기대와 정부정책 관련주 중심의 테마주 부각 등 최근과 비슷한 현상들이 존재했다. 물론 지금은 지난 해 베어마켓 랠리와 다른 특징이 존재한다. 당시는 경기가 서서히 하강하던 시점이었던데 비해 지금은 경기
가 저점을 논할 정도로 악화된 상태이며, 이전에는 주식보다는 Oil 등 상품가격 중심의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던데 비해 지금은 의외로 상품가격이 하향 안정되어 있다.

특히, 주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최근 주가 상승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는 불신(Disbelief) 현상과 실적개선 속도를 의심(Doubt)하는 모습이 자주 발견된다는 점은 역(逆)으로 증시에는 긍정적인 신호이다. 강세장은 비관(悲觀) 속에 태어나 회의(懷疑)속에 자란다는 점에서 지금 증시는 비관이라는 침체를 벗어나 회의라는 강세장의 중반부 즉, 실적장세에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당사는 2009년 금융시장이 지난해와 같은 단순한 유동성 랠리에서 벗어나 경기저점 통과와 맥을 같이하는 실적장세에 진입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실적장세 진입시, 조정 폭은 감내 가능한 수준, 즉 5~10% 내외의 조정에 그칠 것으로 판단한다.

글로벌 주식시장, 국제 상품가격과 연관성 높아져

국제 원자재가격의 상승은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자극하며 자원보유국을 제외한 글로벌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올해에는 상품가격 상승세가 물가상승 압력이라는 위험요소라기보다는 위험자산 선호 및 글로벌 경기회복(수급개선) 시그널이라는 긍정적 의미로 받아들여지면서 주가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 특히 원유 이외에도 메모리, 비철금속 등 극단적 저점수준에 머물고 있던 제품들의 가격 상승이 주가 프리미엄 요인으로 작용하는 국가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연초 이후 상품가격 상승률을 살펴보면, IT제품(평균 63%)>비철금속(평균 28%)>원유(12%)순으로 강세를 보였으며 금(-0.5%)과 대두를 제외한 곡물(평균 -9%)은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러한 가격동향은 글로벌 주식시장 수익률에 그대로 투영되어 시장 내 IT업종의 시가총액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대만이 연초 이후 31% 상승하며 글로벌 시장 내 중국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계 2위 산유국이자 러시아와 철광석, 원유 수출국인 브라질 주식시장도 강세를 보인 한편 금 수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증시는 부진했다. 업종별로도 IT와 에너지, 소재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이머징 대비 IT, 산업재가 초과상승한 반면 소재업종, 유틸리티 업종은 아직 상승여력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가격상승이 재고량 감소라는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 것이란 점에서 상품가격은 이전과 같은 큰 폭의 하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낮고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경기회복 속도에 맞춰 점진적인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에도 현재와 같이 국제 상품가격과 글로벌 주식시장 및 업종 간 높은 연관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이다.

* 우리투자증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