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선택: 급한 불부터 끈다
7일 한국은행은 정책금리를 1년만에 5.25%로 25bp 인상하였다. 인상과 동결지속 전망이 팽팽했던 가운데 결국 급한 불부터 끄기로 결정한 것이다. 한국은행의 국내 경제에 대한 판단과 총재의 코멘트를 종합해보면, 국내경기는 대외여건의 불확실성과 국내 소비·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하강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나‘수출’이라는 버팀목이 있는 반면, 물가는 고유가의 파급효과지속,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등으로 인해 상당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대 인플레이션 확산 방지차원에서 긴축을 단행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지속되었던 금리 인상 시사에 대한 신뢰성 측면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 채권시장은‘추가인상’여부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금통위 이후 한은총재의 기자회견을 본 참가자들은 누구나 총재의 물가에 대한 우려와 물가안정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하반기 물가전망이 7월 전망치 5.2% 보다 높아질 것, 8, 9월 물가 만만치 않다, 최근 유가하락에도 물가상승압력 끝나지 않았다, 누가 하반기 물가안정을 자신하는가, 통화정책은 한번하고 끝나는 것 아니다 등등 해석하기에 따라서 추가인상 가능성을 충분히 시사했다고 판단할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금통위 이후 채권애널리스트들의 향후 정책금리 전망을 살펴보면 7:3 정도로‘동결’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또한 정책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고5년 금리는 5bp 하락하는 기염을 토했다. 한국은행과 시장의 소통에 문제가 발생한 것인가? 아니면 시장이 한발 먼저 앞서나가는 것일까?
추가인상 가능성을 열어 놓았으나, 연내 동결 전망
우선 한국은행도 인정했듯이 1) 경기하강위험이 만만치 않다. 2분기 연속 전기대비 성장률이 0.8%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고, 특히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내수침체가 진행중이며 내수위축은 정책금리 인상에 따라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그림 1). 2) 7일 ECB와 BOE의 금리동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요국들의 통화정책은 당분간 중립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3) 물가도 8~9월까지 상승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나, 유가급등 등 대외요인의 불안현상이 재현되지 않는다면 연말로 갈수록 다소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그림 2). 4) 한국은행도 경기하강위험과 물가상승위험의 강도를 비교하며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라 피력한 것 같이 일방적인 긴축을 단행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물론 한국은행의 현재 중점 관심사항은 물가라는 사실이 8월 금통위에서 재차 확인 되었고, 7월 CPI 5.9%, PPI 12.5% 상승하는 등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일부 확산되고 있음이 감지되고 있으며, 11월 6% 중반까지 CPI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추가인상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지 못하지만, 현재의 경제상황과 대외환경을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연내 동결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한다.
興盡悲來보다는 苦盡甘來의 가능성이 더 높다
올해의 금리추세를 보면 1월 중순 이후 금리 하락(興盡) → 5월부터 금리상승추세돌입(悲來) → 7월 중순 금리고점 형성(苦盡) → 이후 금리 하락의 단계(甘來)를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림 3). 물론 7월 중순 이후의 하락을 興盡으로, 통화정책의 긴축전환을 계기로 悲來할 것으로 전망할 수도 있으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번 금통위의 금리인상 단행은 인플레 기대심리 확산방지 차원의 조치로 판단하고 당분간 금리동결이 예상된다는 측면과 경기하강위험의 증가가 예상되어 중기적인 채권시장의 흐름은 아래쪽이라 전망한다. 그러나 1) 당분간 물가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물가위험은 언제든지 다시 시장의 중심 악재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 2) 현재의 정책 금리 5.25% 수준이 강력한 하한선의 역할을 하여 국고5년 금리가 5.5% 이하로 하락하기는 당분간(8~9월까지) 힘들다는 점, 3) 대외요인(유가/환율/신용경색 등)의 악화로 물가상승이 예측보다 강하고 길게 지속될 개연성도 남아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여 현 금리수준에서의 추격매수는 자제하고 금리반등시 매수관점을 유지하기를 권고한다.
*삼성증권
7일 한국은행은 정책금리를 1년만에 5.25%로 25bp 인상하였다. 인상과 동결지속 전망이 팽팽했던 가운데 결국 급한 불부터 끄기로 결정한 것이다. 한국은행의 국내 경제에 대한 판단과 총재의 코멘트를 종합해보면, 국내경기는 대외여건의 불확실성과 국내 소비·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하강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나‘수출’이라는 버팀목이 있는 반면, 물가는 고유가의 파급효과지속,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등으로 인해 상당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대 인플레이션 확산 방지차원에서 긴축을 단행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지속되었던 금리 인상 시사에 대한 신뢰성 측면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 채권시장은‘추가인상’여부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금통위 이후 한은총재의 기자회견을 본 참가자들은 누구나 총재의 물가에 대한 우려와 물가안정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하반기 물가전망이 7월 전망치 5.2% 보다 높아질 것, 8, 9월 물가 만만치 않다, 최근 유가하락에도 물가상승압력 끝나지 않았다, 누가 하반기 물가안정을 자신하는가, 통화정책은 한번하고 끝나는 것 아니다 등등 해석하기에 따라서 추가인상 가능성을 충분히 시사했다고 판단할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금통위 이후 채권애널리스트들의 향후 정책금리 전망을 살펴보면 7:3 정도로‘동결’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또한 정책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고5년 금리는 5bp 하락하는 기염을 토했다. 한국은행과 시장의 소통에 문제가 발생한 것인가? 아니면 시장이 한발 먼저 앞서나가는 것일까?
추가인상 가능성을 열어 놓았으나, 연내 동결 전망
우선 한국은행도 인정했듯이 1) 경기하강위험이 만만치 않다. 2분기 연속 전기대비 성장률이 0.8%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고, 특히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내수침체가 진행중이며 내수위축은 정책금리 인상에 따라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그림 1). 2) 7일 ECB와 BOE의 금리동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요국들의 통화정책은 당분간 중립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3) 물가도 8~9월까지 상승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나, 유가급등 등 대외요인의 불안현상이 재현되지 않는다면 연말로 갈수록 다소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그림 2). 4) 한국은행도 경기하강위험과 물가상승위험의 강도를 비교하며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라 피력한 것 같이 일방적인 긴축을 단행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물론 한국은행의 현재 중점 관심사항은 물가라는 사실이 8월 금통위에서 재차 확인 되었고, 7월 CPI 5.9%, PPI 12.5% 상승하는 등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일부 확산되고 있음이 감지되고 있으며, 11월 6% 중반까지 CPI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추가인상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지 못하지만, 현재의 경제상황과 대외환경을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연내 동결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한다.
興盡悲來보다는 苦盡甘來의 가능성이 더 높다
올해의 금리추세를 보면 1월 중순 이후 금리 하락(興盡) → 5월부터 금리상승추세돌입(悲來) → 7월 중순 금리고점 형성(苦盡) → 이후 금리 하락의 단계(甘來)를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림 3). 물론 7월 중순 이후의 하락을 興盡으로, 통화정책의 긴축전환을 계기로 悲來할 것으로 전망할 수도 있으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번 금통위의 금리인상 단행은 인플레 기대심리 확산방지 차원의 조치로 판단하고 당분간 금리동결이 예상된다는 측면과 경기하강위험의 증가가 예상되어 중기적인 채권시장의 흐름은 아래쪽이라 전망한다. 그러나 1) 당분간 물가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물가위험은 언제든지 다시 시장의 중심 악재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 2) 현재의 정책 금리 5.25% 수준이 강력한 하한선의 역할을 하여 국고5년 금리가 5.5% 이하로 하락하기는 당분간(8~9월까지) 힘들다는 점, 3) 대외요인(유가/환율/신용경색 등)의 악화로 물가상승이 예측보다 강하고 길게 지속될 개연성도 남아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여 현 금리수준에서의 추격매수는 자제하고 금리반등시 매수관점을 유지하기를 권고한다.
*삼성증권
'주식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완화, 속도조절 필요 (0) | 2008.08.11 |
---|---|
관심은 서서히 경기로(요약) (1) | 2008.08.11 |
경기에 집중해야 메달을 딸 수 있다. (0) | 2008.08.11 |
인플레이션 완화 확인이 관건 (0) | 2008.08.11 |
가치주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들이 적극적으로 편입한 종목들 (0) | 2008.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