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저점 통과를 통한 실적장세 진입시, 주가가 급락세를 나타낼 가능성 낮아
금융시장이 단순한 유동성 랠리에서 벗어나 경기저점 통과와 맥을 같이하는 실적장세에 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조정이 나타나더라도 그 폭은 지난해의 베어마켓 랠리와 같은 큰폭의 하락보다는 실적장세에서 감내 가능한 수준, 즉 5~10% 내외의 조정에 그칠 전망이다. 2000년 이후 재고순환사이클과 주가 흐름을 비교해본 결과,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던 2001년 1/4~2/4분기, 2003년 2/4분기, 그리고 2005년 1/4~2/4분기, 2007년 1/4분기의 주가 등락을 살펴본 결과, 예상보다 큰 폭의 조정은 6번 정도 있었지만, 조정시 그 폭이 10%를 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경기회복의 모습이 U자형이든 아니면 V자형이든 주가는 우상향을 이어간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히려 통계적으로만 보면 V자형 경기회복보다 U자형 경기회복인 경우가 주가가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적장세 진입시, 철강, 기계 등 소재주 비중확대를 통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필요
실적장세 진입시, 철강, 기계 등 소재주 비중확대를 통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필요
현재 KOSPI는 유동상 장세의 막바지인지 아니면 실적장세 진입을 통한 2차 상승이 가능할 것인지의 기로에 놓인 상황이다. 최근 주가 상승을 유동성 랠리로만 판단한다면 지금은 주식비중을 과감하게 줄이는 투자판단이 필요하다. 유동성 랠리는 저점대비 30%+а의 상승률을 기록한 다음 조정권역에 진입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а는 오버슈팅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현재의 주가 상승은 유동성 랠리로 볼 때 8~9부 능선을 넘은 상황이다. 반면 단기 조정을 거치더라도 실적장세 진입(경기저점 통과, 기업실적 개선, 금리상승 등)의 가능성을 높게 본다면 포트폴리오에 대한 리밸런싱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성장형 펀드 안에서 IT하드웨어, 화학, 인터넷/SW 등은 Overweight하고 있는 반면, 반도체/장비, 자동차부품, 철강/금속, 운송, 기계 등의 비중은 Underweight된 상태이다. 당사는 실적장세 진입시, 기존 주도주인 반도체와 자동차에 이어 중국관련주로 대표되는 철강 및 기계주의 상승여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며, 동 업종에 대한 비중을 적어도 시장 평균 수준에 맞추는 리밸런싱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해당 업종내 이익모멘텀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종목으로는 포스코와 고려아연, 그리고 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모비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경기저점 통과를 통한 실적장세 진입시, 주가가 급락세를 나타낼 가능성 낮아
단기 급등에 대한 부담과 유동성 장세의 한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지만, 주가는 의외로 견조한 모습이 지속되고 있다. 물론 높아진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주가 조정은 예상되지만, 현재의 금융시장이 단순한 유동성 랠리의 흐름에서 벗어나 경기저점 통과와 맥을 같이하는 실적장세에 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정이 나타나더라도 그 폭은 지난해의 베어마켓 랠리와 같은 큰 폭의 하락보다는 실적장세에서 감내 가능한 수준 즉, 5~10% 내외의 조정에 그칠 것으로 판단된다.
경험적으로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주가가 조정을 보이더라도 그 폭이 5~10%선을 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0년 이후 재고순환사이클과 주가 흐름을 비교해 본 결과,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던 2001년 1/4~2/4분기, 2003년 2/4분기, 그리고 2005년 1/4~2/4분기, 2007년 1/4분기의 주가 등락을 살펴본 결과, 예상보다 큰 폭의 조정은 6번 정도 있었지만, 조정시 그폭이 10%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상승 추세를 훼손할 정도의 주가 급락은 경기가 과열되거나 하강하는 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데 비해 최근과 같이 경기 저점 여부에 대한 논쟁이 붙는 경우에는 주가가 큰 폭의 하락을 보인 경우가 드물다.
* 경기 저점 통과기에는 주가가 10% 이상의 조정을 보인 경우는 거의 없어
1. 경기저점 통과를 통한 실적장세 진입시, 주가가 급락세를 나타낼 가능성 낮아
단기 급등에 대한 부담과 유동성 장세의 한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지만, 주가는 의외로 견조한 모습이 지속되고 있다. 물론 높아진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주가 조정은 예상되지만, 현재의 금융시장이 단순한 유동성 랠리의 흐름에서 벗어나 경기저점 통과와 맥을 같이하는 실적장세에 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정이 나타나더라도 그 폭은 지난해의 베어마켓 랠리와 같은 큰 폭의 하락보다는 실적장세에서 감내 가능한 수준 즉, 5~10% 내외의 조정에 그칠 것으로 판단된다.
경험적으로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주가가 조정을 보이더라도 그 폭이 5~10%선을 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0년 이후 재고순환사이클과 주가 흐름을 비교해 본 결과,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던 2001년 1/4~2/4분기, 2003년 2/4분기, 그리고 2005년 1/4~2/4분기, 2007년 1/4분기의 주가 등락을 살펴본 결과, 예상보다 큰 폭의 조정은 6번 정도 있었지만, 조정시 그폭이 10%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상승 추세를 훼손할 정도의 주가 급락은 경기가 과열되거나 하강하는 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데 비해 최근과 같이 경기 저점 여부에 대한 논쟁이 붙는 경우에는 주가가 큰 폭의 하락을 보인 경우가 드물다.
* 경기 저점 통과기에는 주가가 10% 이상의 조정을 보인 경우는 거의 없어
* 높아진 밸류에이션과 기업이익 개선속도 간의 밸런싱 차원의 조정 가능
2. 컨센서스 기준 대부분의 국가들은 상반기 중 U자 또는 V자형 경기회복을 기대하고 있어
물론 아직까지는 경기회복이나 실적장세 진입 가능성에 대해 반신반의 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불과 몇 개월 전만해도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 운운하면서 2009년이나 2010년까지도 경기가 장기침체에 빠질 것이라던 전망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래 차트는 블룸버그 자료를 기준으로 각국 경기흐름에 대한 전망치를 도표화한 자료이다. 이를 보면 주요국 경기 흐름은 상승 패턴의 차이는 있어도 대부분 빠르면 올 1/4분기, 늦어도 2/4분기부터는 경기가 바닥을 통과할 것이라는 컨센서스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경험적으로 보면 U자이든 V자이든 경기회복기에 주가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또한 경기회복의 모습이 U자형이든 아니면 V자형이든 주가는 우상향을 이어간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계적으로만 보면 V자형 경기회복보다 U자형 경기회복인 경우 주가가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U자형의 정의: 경기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다음 회복되는 경우로 정의.)
예를 들어 1980년 이후 한국경기가 침체에 빠진 이후 회복되는 과정을 V자형 패턴과 U자형 패턴으로 구분해 본 결과, V자형 반등의 경우에는 주가 상승률이 평균 13.6%, U자형인 경우는 20.5%로 나타났다. 상승기간에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경기 회복이 어떤 모습이든 회복되고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주가는 우상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경기회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4월 2일 발표된 “실적장세가 오고 있다” 자료 참조)
* 한국, 1980 년 이후 경기회복 패턴에 따른 주가 상승률
횟수 | 평균수익률( %) | |
V 자형반등 (약 9 개월) | 4 | 13.6 |
U 자형반등 (약 12 개월) | 4 | 20.5 |
* V 자형 경기회복기 주가 흐름 * U 자형 경기회복기 주가 흐름
* 분기별 기업이익 및 경제성장률 전망치 추이
4. 실적장세 진입시, 철강 등 소재주 비중확대를 통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필요
결론적으로 현재 KOSPI는 유동성 장세의 막바지인지 실적장세 진입을 통한 2차적인 상승이 가능할 것인지의 기로에 놓인 상황이다. 최근 주가 상승을 유동성 랠리로만 판단한다면 지금은 주식비중을 과감하게 줄이는 투자판단이 필요하다. 통상 유동성 랠리는 저점대비 30%+а의 상승률을 기록한 다음 조정권역에 진입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а는 오버슈팅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현재의 주가 상승은 유동성 랠리로 볼 때 8~9부 능선을 넘은 상황이다.
반면 단기 조정을 거치더라도 실적장세 진입(경기저점 통과, 기업실적 개선, 금리상승 등)의 가능성을 높게 본다면 포트폴리오에 대한 리밸런싱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성장형 펀드 안에서 IT하드웨어, 화학, 인터넷/SW 등은 Overweight하고 있는 반면, 반도체/장비, 자동차부품, 철강/금속, 운송, 기계 등의 비중은 Underweight된 상태이다. 당사는 실적장세 진입시, 기존 주도주인 반도체와 자동차에 이어 중국관련주로 대표되는 철강 및 기계주의 상승여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며 동 업종에 대한 비중을 적어도 시장 평균 수준에 맞추는 리밸런싱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해당 업종내 이익모멘텀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종목으로는 포스코와 고려아연, 그리고 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모비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기관투자자 성장형 펀드내 업종별 투자비중
'주식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화학 왕의귀한(요약) (0) | 2009.04.20 |
---|---|
조선산업 가뭄에 단비는.. (0) | 2009.04.20 |
부실자산처리가 험난한 세 가지 이유 (0) | 2009.04.17 |
지주회사 - 환원주의(還元主義)에 대한 고찰 (1) | 2009.04.16 |
[참고] 감사 의견 거절 종목 (1) | 2009.04.03 |
댓글